맨위로가기

039형 잠수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039형 잠수함은 중국이 자체 개발한 디젤-전기 잠수함으로, 1960년대부터 시작된 잠수함 현대화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이 잠수함은 초기에는 성능 문제로 인해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킬로급 잠수함의 기술을 도입한 039A형(위안형) 잠수함으로 발전했다. 039형은 유선형 선체와 단일 프로펠러를 채택하여 수중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533mm 어뢰와 YJ-8 계열 순항 미사일 등을 무장으로 사용한다. 2006년에는 미 해군 항공모함 키티호크에 근접하는 사건이 있었으며, 태국에 수출을 시도했으나, 기반 시설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잠수함 - 096형 잠수함
    096형 잠수함은 중국 해군이 개발 중인 차세대 전략 핵잠수함으로, 2020년 건조 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최신형 JL-3 SLBM 24발을 탑재하여 기존 094형 진급 잠수함을 대체할 예정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잠수함 - 035형 잠수함
    035형 잠수함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소련 로미오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개발한 재래식 잠수함으로,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일부는 수출되기도 하고 훈련 중 사고로 인명 피해를 입기도 했다.
  • 재래식 동력 잠수함 - U보트
    U보트는 독일 해군이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운용한 잠수함으로, 연합군의 군함과 상선에 큰 피해를 입혔으나 많은 손실을 보았으며, 현대 잠수함의 계보를 잇고 있다.
  • 재래식 동력 잠수함 - 오야시오급 잠수함
    오야시오급 잠수함은 일본 해상자위대가 운용하는 디젤 추진 잠수함으로, 수중 방사 소음 감소와 스텔스 능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으며 ZQQ-6 소나 시스템과 HU-605 어뢰 발사관을 장착한 하루시오급 잠수함의 후속함이자 소류급 잠수함으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모델이다.
  • 잠수함 함급 - 시울프급 잠수함
    시울프급 잠수함은 냉전 시대 소련 잠수함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해군이 개발한 정숙성과 고속 잠항 능력이 뛰어난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이지만, 막대한 건조 비용으로 3척만 건조되었고, 정보 수집, 감시,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지미 카터함은 특수 임무 수행을 위해 개조되었다.
  • 잠수함 함급 - 시에라급 잠수함
    시에라급 잠수함은 소련/러시아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으로, 티타늄 합금 선체를 사용하여 경량화와 저소음 성능을 달성했으며, 미국 SSBN/SSN 저지를 목표로 개발된 945형(시에라 I급)과 945A형(시에라 II급)으로 나뉜다.
039형 잠수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039형 잠수함
함급 명칭쑹급
종류공격형 잠수함
건조우한 조선소
장난 조선소
이전 함급035형 (밍급)
다음 함급039A형 (위안급)
취역 기간1998년-현재
계획 척수13척
건조 척수13척
활동 척수13척
제원
함 종류SSK (디젤 추진 잠수함)
배수량2,250톤 (수중)
길이74.9m
8.4m
흘수선5.3m
잠항 심도300m
승조원60명
추진 방식디젤-전기, 1축
무장
어뢰 발사관6 × 533mm 어뢰 발사관
어뢰 적재량18 × 어뢰
기뢰 적재량36 × 기뢰

2. 개발 배경 및 역사

039형 잠수함은 중국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첫 디젤-전기 잠수함이다. 중국은 1960년대부터 소비에트 연방 해군의 633형(로미오급)을 033형으로 국산화했고, 1970년대부터는 이를 개량한 035형(밍급) 건조에 착수했다. 그러나 035형은 설계 및 성능이 낙후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7]

039형은 잠수함대 현대화를 위해 독자 설계로 개발되었으나, 제원상 성능과 달리 실제 운용 부대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이에 중국은 러시아로부터 877EKM형(킬로급)을 도입하는 한편, 국산 함정 정비에 킬로급 기술을 도입한 039A형(위안급) 건조로 빠르게 전환했다.[8][9]

2. 1. 개발 배경

1960년대부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은 소비에트 연방 해군의 633형(로미오급)을 033형으로 국산화하였고, 1970년대부터는 이를 개량한 035형(밍급) 건조에 착수했다. 035형은 중국이 처음 설계에 관여한 잠수함이었지만, 원본 설계가 오래되어 설계 및 성능이 낙후되었다는 지적이 있었다.[7]

이 때문에 잠수함대의 현대화를 위해 중국은 독자적으로 잠수함을 설계하여 039형을 개발했다. 제원상으로는 일선 수준의 성능을 확보했지만, 실제 운용 부대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러시아로부터 877EKM형(킬로급)을 도입하는 동시에, 국산 함정의 정비를 위해 킬로급의 기술을 도입한 039A형(위안급) 건조로 빠르게 전환했다.[8][9]

3. 설계

039형 잠수함은 킬로급 잠수함과 유사하게 현대적인 유선형 선체 디자인을 채택하여 수중 성능을 향상시켰다. 최초 선박인 ''320''함은 긴 시험 기간을 거쳤으며, 소음 수준 및 수중 성능 문제로 인해 설계가 수정되었다.[2]

039형은 이전의 035형(명형)과 비교했을 때 선체 형태가 쇄신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S형 잠수함 계열의 수면 항주 성능을 중시한 향유고래형 선체 및 2축 추진 방식 대신, 유체역학적으로 합리적인 유선형 선체 및 1축 추진 방식이 채택되었다. 추진기는 7엽 스큐 프로펠러를 사용하며, 최대 잠항 심도는 300미터이다.[6] 잠수타는 세일 플레인 형식이며, 세일 후단에 정류 핀이 있다.[10]

1번함인 320호함은 1991년 기공, 1994년 진수되었으나, 해상 공시에서 수중 운동 성능 및 방사 소음 문제가 지적되어 1999년까지 취역이 늦어졌다. 이후 2번함부터 6번함은 개량형인 039G형, 7번함 이후는 더욱 개량된 039G1형으로 순차적으로 설계가 변경되었다. 1·2번함은 단차가 있는 특수한 세일을 채택했지만, 3번함 이후에는 일반적인 형태로 변경되었고, 이후 1·2번함에도 적용되었다.[6]

이러한 개선을 통해 정숙성이 향상되었다. 초기에는 킬로급 초기형(877형)보다 훨씬 높았고, 해상자위대가 1970년대에 정비한 우시오형(42SS)보다 약간 높기까지 했지만[11], 나중에는 킬로급 초기형(877형)과 개량형(636형)의 중간 정도까지 낮아졌다고 한다. 2006년 10월, 039형 잠수함 1척이 오키나와 근해에서 미국 해군 키티호크 항공모함 타격단을 추적, 탐지되지 않은 채 약 8.05km라는 근거리에서 부상했다는 보고가 있다.[6]

3. 1. 선체 및 추진 시스템

039형 잠수함은 킬로급 잠수함과 유사하게 수중 성능 향상을 위해 현대적인 물방울 모양 선체를 사용한다.[1] 선체에는 4개의 방향타가 있으며, 단일 프로펠러로 추진된다.[2] 039형은 이전의 035형(밍급)과 비교했을 때, 유체역학적으로 개선된 유선형 선체와 1축 추진 방식을 채택하여 수중 저항을 줄이고 기동성을 높였다.[6] 추진기는 7엽 스큐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소음을 줄이고 추진 효율을 높였다.[6]

엔진은 독일에서 수입했으며,[2] 더 조용한 작동을 위해 충격 흡수 장치를 함께 장착했다. 또한 선체는 소음 방지용 고무 타일로 덮여 있다.[2] 이러한 설계를 통해 정숙성이 향상되었으며, 초기에는 우시오급(42SS)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수중 방사 소음을 보였으나,[11] 이후 킬로급 초기형(877형)과 개량형(636형) 사이 수준으로 개선되었다고 한다.[6]

3. 2. 함교 (세일) 디자인

039형 잠수함의 함교(세일)는 초기형과 개량형에 따라 다른 디자인을 보인다. 초기형인 039형(선체 번호 ''창청 320'')은 함교 후방이 계단식으로 높아지는 독특한 형태였다.[6]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은 잠수함의 음향 서명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039G형에서는 함교를 계단 없이 더 일반적인 모양으로 변경하였다.[6] 이 설계를 통해 잠수함의 소음을 줄일 수 있었다. 039G형 잠수함 5척(선체 번호 ''창청 321'' ~ ''창청 325'')이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취역했다.[3] 이후 초기형 039형도 039G형과 같은 형태로 개수되었다.[6]

4. 무장

039형 잠수함은 어뢰 발사관을 통해 Yu-4 어뢰, YJ-8 계열 대함 미사일, 기뢰 등 다양한 무장을 운용하여 대함 및 대잠 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CY-1 대잠 미사일 발사 시험에도 성공했지만, 양산 여부는 불확실하다.

4. 1. 어뢰

039형 잠수함의 주 무장은 533mm Yu-4 어뢰이다. Yu-4 어뢰는 SAET-50을 기반으로 중국에서 생산된 수동 호밍 어뢰이며, SAET-60과 대략적으로 성능이 비슷하다. Yu-4 어뢰는 수면 표적을 최대 15km까지 공격할 수 있다. Yu-6 유선 유도 어뢰 또한 잠수함 표적에 사용될 수 있다.[6]

039형은 어뢰 발사관에서 순항 미사일인 YJ-8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YJ-8 미사일은 최대 80km 거리에서 대함 미사일로 표적을 공격할 수 있으며, 아음속이며 165kg의 탄두를 탑재한다. 기뢰 부설 작전을 위해 잠수함은 어뢰 대신 어뢰 발사관을 통해 24~36개의 기뢰를 탑재할 수 있다. 어뢰 및 미사일 발사 시스템의 총 설계자는 쑨주궈(孙柱国, 1937-)이며, 발사 시스템은 중국과 러시아/소련제 AShM, ASW, 어뢰와 호환된다.[6]

039형은 위안급 잠수함처럼 수중에서 CY-1 ASW 미사일의 시험 발사에 성공했지만, 대량 생산에 대한 소식이 없어 이 미사일의 현황은 불확실하다. CY-1 ASW 미사일은 최대 사거리가 18km(10nm)이다.

본급은 어뢰 발사관에서 수중 발사 대함 미사일(USM)을 발사할 수 있으며, 그 기종에 대해서는 YJ-82라는 설과, 서스테이너를 터보제트식으로 변경한 YJ-83이라는 설이 있다.[6]

4. 2. 대함 미사일

039형 잠수함은 어뢰 발사관을 통해 YJ-8 계열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이 미사일은 아음속으로 비행하며 165kg의 탄두를 탑재하고 최대 80km 거리의 함정을 공격할 수 있다.[6] 039형 잠수함이 YJ-82 미사일을 탑재하는지, 아니면 서스테이너를 터보제트 방식으로 변경한 YJ-83 미사일을 탑재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6]

4. 3. 기타

위안급 잠수함처럼 CY-1 대잠 미사일은 수중 시험 발사에 성공했지만, 대량 생산 소식이 없어 실제 배치 여부는 불확실하다. CY-1 대잠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는 18km이다.[1] 039형 잠수함은 어뢰 발사관을 통해 24~36개의 기뢰를 부설할 수 있다.[1]

5. 센서

039형 잠수함은 탐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소나와 레이더 시스템을 탑재했다. 소나는 프랑스 Thomson-CSF의 기술을 기반으로 중국에서 개발했으며, 수동 및 능동 모드를 모두 갖추고 있다. 선체 측면에는 저주파수 소나가 장착되어 탐지 거리를 넓혔다. I 밴드 수상 수색 레이더와 SRW209 레이더 경고 수신기를 장착하여 수상 및 수중에서의 탐지 능력을 강화했다.

5. 1. 소나

주요 센서는 잠수함 선수에 장착된 중주파수 소나로, 수색과 공격에 모두 사용되는 수동 및 능동 모드를 갖추고 있다. 이 시스템은 수중 통신 방식을 제공하며, 어뢰 접근 경고 시스템으로도 기능한다. 이 소나는 프랑스 Thomson-CSF의 TSM-2233 소나를 중국에서 개발한 것으로, 사용 목적에 따라 4~12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1] 수동 수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랑스 Thomson-CSF의 TSM-2255 설계를 기반으로 한 저주파수 소나가 선체 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최대 탐지 거리는 30km 이상이고 4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1] 이 시스템은 H/SQG-04 소나로 지정된 중국 자체 개발 수동 거리 측정 소나를 탑재하여 더욱 강화되었다.[1]

5. 2. 레이더

I-밴드 수상 수색 레이더가 장착되어 있다.[1] 이 잠수함은 '''SRW209''' 레이더 경고 수신기를 장착한 최초의 중국 잠수함으로, S-Ku 밴드에서 작동하며 100% 탐지율을 보인다.[1] SRW209는 완전 자동이며, 다중 표적 추적이 가능한 전투 데이터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1]

6. 실전 사례 및 평가

039형 잠수함은 실전에 배치된 이후 여러 훈련과 작전에 참가하여 성능을 입증하였다. 2006년에는 키티호크 근접 사건으로 그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태국에 수출을 시도하기도 했다.[5]

6. 1. USS 키티호크 근접 사건 (2006년)

2006년 10월 26일, 중국의 039형 잠수함이 일본대만 사이 동중국해에서 작전 중이던 미 해군 항공모함 키티호크에서 9km 떨어진 거리에서 부상했다. 이 잠수함은 키티호크의 F/A-18C 조종사와 항공단 소속 EA-6B 승무원에 의해 발견되었다.[4]

같은 해 10월 경, 039형 잠수함 1척이 오키나와 근해에서 미국 해군 키티호크 항공모함 타격단을 추적, 탐지되지 않은 채 9km 거리에서 부상했다.[6]

6. 2. 태국 수출 시도

중국은 2007년 태국에 039형 잠수함 판매를 제안했다. 그러나 당시 태국 해군은 잠수함을 지원할 기반 시설이 부족했다.[5] 이후 태국은 039A형의 수출형인 S26T 잠수함을 주문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 I Sutton - Covert Shores http://www.hisutton.[...]
[2] 서적 The Rise of European Security Cooper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 서적 Jane's Fighting Ships 2023-24
[4] 뉴스 Red China & Red Lines http://www.weeklysta[...] Weekly Standard 2007-01-12
[5] 웹사이트 Chinese Aspects of Singapore's IMDEX Naval Technology Show http://www.strategyc[...] International assessment and Strategy Center 2010-07-14
[6]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Combat Fleets of the World, 16th Edition Naval Institute Press
[7] 서적 中国/台湾海軍ハンドブック 改訂第2版 海人社
[8] 간행물 潜水艦 (特集・中国海軍の新型艦艇) -- (注目の中国新型艦艇) 海人社
[9] 간행물 写真特集 今日の中国軍艦 海人社
[10] 간행물 写真特集 今日の中国軍艦 海人社
[11] 간행물 対潜能力 (特集 中国海軍 2015) -- (中国海軍の能力を探る) 海人社
[12]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world naval weapon systems 1997-1998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3] 저널 중국인민해방군 해군 잠수함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2 2008-02-10
[14] 뉴스 美국방부, 美항모-中잠수함 수마일내 근접 확인 연합뉴스 2006-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